복지뉴스

안양예술공원 내 장애인화장실 편의 ‘열악’

임성준
뎃글수 0 조회수 609 작성일자

안양예술공원 내 장애인화장실 편의 ‘열악’

2곳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시설도 부족

에이블뉴스

안양예술공원 내 안양박물관 부근 공영주차장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박종태 에이블포토로 보기▲ 안양예술공원 내 안양박물관 부근 공영주차장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박종태

경기도가 지난 9일 장애인, 고령자, 영유아 동반자 등 모든 사람들이 편하게 여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2021년 무장애 관광 환경 조성사업’ 공모 결과를 했다.

선정된 곳은 용인자연휴양림, 용인곤충테마파크, 안양예술공원, 포천산정호수, 포천한탄강생태경관단지, 동두천소요산관광지, 연천재인폭포, 연천역고드름 등 8곳이다. 여기에는 도가 관광 약자가 편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환경 조성비 각 6억 8700만원을 지원한다.

이곳의 장애인화장실 편의에 초점을 맞춰 현재의 상태를 토대로 개선이 필요한 상황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는 최근 방문한 안양예술공원 장애인화장실이다.


안양예술공원 장애인화장실은 3곳이다. 안양박물관 부근 공영주차장, 안양파빌리온 건물, 서울대 수목원 앞 있다.

하지만 안양박물관 부근 공영주차장, 안양파빌리온 건물의 경우 남녀비장애화장실 내부에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서울대 수목원 앞은 바닥이 울퉁불통 돌길이어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접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과 남녀장애인화장실 출입문은 안양박물관 부근 공영주차장은 모두 여닫이안양파빌리온 건물은 모두 미닫이로 손이 불편하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들다.

또한 2곳의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안양박물관 부근 공영주차장 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대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를 비롯해 비상호출벨·휴지걸이도 없었다.

안양파빌리온 건물 장애인화장실 내부는 비상호출벨이 설치돼 있지 않았고, 휴지걸이는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다. 세면대는 양쪽의 손잡이가 고정식으로 설치 위치도 휠체어가 들어가기에는 낮았다. 여기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대변기에 옮겨 앉기에는 세면대 손잡이가 고정식인 것 등 공간이 좁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였다.
 

안양박물관 부근 공영주차장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된 남녀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손이 불편하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든 여닫이다. ⓒ박종태 에이블포토로 보기▲ 안양박물관 부근 공영주차장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된 남녀장애인화장실의 출입문은 손이 불편하거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든 여닫이다. ⓒ박종태

안양박물관 부근 공영주차장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대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를 비롯해 비상호출벨·휴지걸이도 없었다. ⓒ박종태 에이블포토로 보기▲ 안양박물관 부근 공영주차장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대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를 비롯해 비상호출벨·휴지걸이도 없었다. ⓒ박종태

안양예술공원 내 안양파빌리온 건물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박종태 에이블포토로 보기▲ 안양예술공원 내 안양파빌리온 건물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남녀장애인화장실이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박종태

안양예술공원 내 안양파빌리온 건물 비상호출벨이 설치돼 있지 않았고, 휴지걸이는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다. 세면대는 양쪽의 손잡이가 고정식으로 설치 위치도 휠체어가 들어가기에는 낮았다. 여기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대변기에 옮겨 앉기에는 세면대 손잡이가 고정식인 것 등 공간이 좁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였다. ⓒ박종태 에이블포토로 보기▲ 안양예술공원 내 안양파빌리온 건물 비상호출벨이 설치돼 있지 않았고, 휴지걸이는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다. 세면대는 양쪽의 손잡이가 고정식으로 설치 위치도 휠체어가 들어가기에는 낮았다. 여기에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대변기에 옮겨 앉기에는 세면대 손잡이가 고정식인 것 등 공간이 좁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였다. ⓒ박종태

안양박물관 부근 공영주차장, 안양파빌리온 건물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박종태 에이블포토로 보기▲ 안양박물관 부근 공영주차장, 안양파빌리온 건물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