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뉴스 HOME 커뮤니티 복지뉴스 공지사항 보도자료 캘린더 복지뉴스 백일장 전시회 복지뉴스 평택 안송그린공원 장애인화장실 이용 불편 임성준 뎃글수 0 조회수 593 작성일자 2021.06.02 평택 안송그린공원 장애인화장실 이용 불편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 출입문도 미닫이 에이블뉴스 ▲ 안송그린공원 남녀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양호하게 설치됐다. ⓒ박종태관련기사 - 평택 송담그린공원 장애인화장실 편의 ‘미흡’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안송그린공원 남녀장애인화장실의 장애인 편의가 미흡한 것으로 점검됐다. 인광그린공원 화장실은 리모델링을 마치고, 지난 21일 한국토지주택공사로부터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일반등급 본인증을 획득했다. 최근 점검결과 남녀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출입문도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여닫이, 장애인화장실 미닫이로 휠체어를 사용하거나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은 출입하는데 있어 이중의 불편을 겪는다. 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대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도 없다. 휴지걸이는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다. 반면 비상호출벨은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설치돼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가운데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화장실 내부를 알 수 있는 점자안내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됐다. 점자안내판에는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기가 설치됐지만 인적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직원호출벨이 없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과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양호하게 설치됐다. 남성비장애인화장실의 경우 소변기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다. 하지만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용해야 하는 세면대에는 양쪽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으며, 세면대 밑에 구조물이 있어 휠체어 접근을 방해할 것으로 보였다. ▲ 안송그린공원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가운데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화장실 내부를 알 수 있는 점자안내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양호하게 설치됐다. 점자안내판에는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기가 설치된 반면, 인적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직원호출벨이 없다. ⓒ박종태 ▲ 안송그린공원 남녀장애인화장실은 출입문은 휠체어를 사용하거나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든 미닫이로 문고리 잠금장치 사용도 어렵다. ⓒ박종태 ▲ 안송그린공원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대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도 없다. 휴지걸이는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다. 반면 비상호출벨은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설치돼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박종태 ▲ 안송그린공원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용해야 하는 세면대에는 양쪽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으며, 세면대 밑에 구조물이 있어 휠체어 접근을 방해할 것으로 보였다. ⓒ박종태 ▲ 안송그린공원 남성비장애인화장실의 경우 소변기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다. 이전 다음 목록
평택 안송그린공원 장애인화장실 이용 불편 임성준 뎃글수 0 조회수 593 작성일자 2021.06.02 평택 안송그린공원 장애인화장실 이용 불편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 출입문도 미닫이 에이블뉴스 ▲ 안송그린공원 남녀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양호하게 설치됐다. ⓒ박종태관련기사 - 평택 송담그린공원 장애인화장실 편의 ‘미흡’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안송그린공원 남녀장애인화장실의 장애인 편의가 미흡한 것으로 점검됐다. 인광그린공원 화장실은 리모델링을 마치고, 지난 21일 한국토지주택공사로부터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 Free)' 일반등급 본인증을 획득했다. 최근 점검결과 남녀장애인화장실은 남녀비장애인화장실 내부에 마련돼 있어 성별이 다른 활동보조인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출입문도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여닫이, 장애인화장실 미닫이로 휠체어를 사용하거나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은 출입하는데 있어 이중의 불편을 겪는다. 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대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도 없다. 휴지걸이는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다. 반면 비상호출벨은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설치돼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가운데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화장실 내부를 알 수 있는 점자안내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설치됐다. 점자안내판에는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기가 설치됐지만 인적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직원호출벨이 없다.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벽면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성별을 알 수 있는 점자표지판과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양호하게 설치됐다. 남성비장애인화장실의 경우 소변기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다. 하지만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용해야 하는 세면대에는 양쪽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으며, 세면대 밑에 구조물이 있어 휠체어 접근을 방해할 것으로 보였다. ▲ 안송그린공원 남녀비장애인화장실 입구 가운데에는 시각장애인이 손끝으로 만져 화장실 내부를 알 수 있는 점자안내판, 앞바닥에 점자블록이 양호하게 설치됐다. 점자안내판에는 점자를 읽지 못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기가 설치된 반면, 인적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직원호출벨이 없다. ⓒ박종태 ▲ 안송그린공원 남녀장애인화장실은 출입문은 휠체어를 사용하거나 손이 불편한 중증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든 미닫이로 문고리 잠금장치 사용도 어렵다. ⓒ박종태 ▲ 안송그린공원 남녀장애인화장실 내부는 좁아 세면대가 설치돼 있지 않았고, 대변기에 자동 물 내림 센서와 등받이도 없다. 휴지걸이는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다. 반면 비상호출벨은 대변기에 앉았을 때 손이 닿는 곳에 설치돼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박종태 ▲ 안송그린공원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사용해야 하는 세면대에는 양쪽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지 않아 목발을 사용하는 장애인이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으며, 세면대 밑에 구조물이 있어 휠체어 접근을 방해할 것으로 보였다. ⓒ박종태 ▲ 안송그린공원 남성비장애인화장실의 경우 소변기에 손잡이가 설치돼 있다.